![]() |
저축 (출저=ⒸGettyimagesbank) |
고용노동부에서는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청년내일채움공제'라는 제도를 내놓았다. 이는 열악한 중소기업과 목돈 마련이 어려운 청년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월 12만원씩 2년 동안 적금하면 만기시 1,6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목돈 마련 제도로, 가입조건이나 자격,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중소·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하여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업'이라고 고용노동부가 정리하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청년과 기업이 청년의 장기근속을 전제로 일정 금액을 함께 보태 만기 시, 일시금을 각각 청년과 기업에게 지급하는 공동적금 제도이다. 열악한 중소기업과 목돈 마련이 쉽지 않은 사회초년생들을 위해 국가가 마련한 목돈 마련 정책인 것이다.
![]() |
저축 (출저=ⒸGettyimagesbank) |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과 신청방법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년형과 3년형이 존재한다. 먼저 2년형과 3년형 가입 연령은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여야하고 군필자는 만39세로 한정한다. 고용보험 이력은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에 3개월 이하 단기 가입은 제외된다. 2년형과 3년형 모두 학력 제한은 없다. 다만 고등학교나 대학을 재학 중인 자는 신청이 불가능하다. 기업의 지원대상 조건이나 자격을 살펴보면 2년형과 3년형 모두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을 조건으로 한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정규직으로 전환 후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한다. 그러나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이 가능한 기업이 아니라면 불가능하므로 꼭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실행하고 있는 기업인지 확인해야한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은 운영기관인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므로 고용노동부 청년내일채움공제란에 들어가 간단한 신청만 하면 된다.
![]() |
저축 (출저=ⒸGettyimagesbank) |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금액과 중도해지
그렇다면 청년내일채움공제의 만기 금액은 어떻게 될까. 먼저 2년형은 청년은 2년간 총 300만원을 적립한다. 기업은 400만원, 정부는 900만원을 지원하며 공동 적립이 이루어진다. 2년 후 만기 공제금은 1,600만원과 이자를 포함해 받는다. 3년 형은 청년 600만원, 기업 600만원, 정부 1,800만원 적립으로 만기에는 3,000만원과 이자를 수령한다.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진행 중에 개인적인 사정과 이직으로 중도해지를 하게 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중도해지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다. 이 또한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 들어가 계약해지 신청을 하면 가능하다. 중도해지를 하게 되면 해지사유와 시기에 따라 금액이 차등지급이 되며 근로자가 납부했던 금액은 전부 환급 가능하다.
사회초년생의 목돈 마련이 어려운 지금,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위해 기업 경력과 목돈 마련을 동시에 진행해보는 건 어떨까
[팸타임스=표광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