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한부모 가족 지원 정책은?…"복지로 사이트 통해 내용확인"

조현우 2019-12-04 00:00:00

한부모 가족 지원 정책은?…복지로 사이트 통해 내용확인
▲(출처=픽사베이)

정부는 국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다각도의 복지를 지원하고 있다.

다양한 복지정책 중에서도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출산과 양육 관련 지원들이 시간이 흐를수록 지원내용이 확대되는 추세다.

출산장려금, 아동수당, 육아휴직 등의 정책들이 그에 해당한다.

그 밖에도 자녀를 기를 때 생각보다 훨씸 많은 돈이 양육비로 지출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혼자서 양육비를 책임져야 할 땐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이 힘들 수 있다.

이런 한부모 가정의 경우 복지정책의 다양한 혜택들을 체크하고 받는 것이 좋다.

지원내용은 지역별로 다르게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한부모가정 지원 혜택은 아동양육비, 추가 아동 양육비, 학용품비, 생활보조금 등이 있다.

아동 양육비 지원 혜택은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보다 낮을 때 만 18세 미만의 자녀에 한 해 1인당 아동 양육비를 지원한다.

추가 아동 양육비 지원 혜택은 조손가족 및 만 25세 이상 미혼 한부모의 만 5세 이하 자녀에게 추가적으로 지원금이 지원된다.

학용품비 지원은 중학생 및 고등학생 자녀가 있을 경우 해당된다.

생활보조금은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부모가족이 지원받을 수 있다.

한부모가족 조건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2% 이하여야 하고 만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및 조손가족이다.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는 만 18세 미만 자녀 1인당 아동양육비를 지원하고 학용품비, 생활보조금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아동양육비는 자녀 1인당 한 달에 20만 원씩 지원된다.

추가 아동양육비를 받는 경우는 자녀 한 명당 한 달에 5만 원씩 지급된다.

뿐만 아니라 교육비 지원은 고등학교 입학금 및 수업료의 20%를 지원한다.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지원은 무주택 저소득 한부모가족에게 지원된다.

선정 시 일정기간 동안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서 주거를 해결할 수 있다.신청방법은 관할 주민센터에서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다.

교육비 지원 신청방법은 온라인 신청이 불가능하고 관할 읍면동사무소를 방문해야 한다.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신청은 시/군/구청과 해당시설에 전화로 신청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지역별로 다양한 복지정책이 있으니 해당사항이 있는지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