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술만 마시지 않으면 간염이랑 상관없다?…침묵의 'C형간염' 조심 하지 않으면 위험 커

백영아 2019-12-04 00:00:00

술만 마시지 않으면 간염이랑 상관없다?…침묵의 'C형간염' 조심 하지 않으면 위험 커
▲(출처=크라우드픽)

 

알코올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은 본인과 간 관련 질병과 별개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간질환에 걸리는 이유가 알코올에 있다고 짐작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간암학회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간암환자 중 72% 정도는 B형간염, 나머지는 C형간염이 간암에 걸리는 원인으로 언급됐다.

우리가 알고 있는 술로 인한 암은 9%에 불과했다.

이러한 이유로 의료인들은 술자리를 즐기지 않는 사람이라도 평소 건강 검진을 받아서 지방간이나 간염 등을 체크하라고 한다.

무서운 위험한 C형 간염은 C형간염 관련 바이러스가 공격할 때 이를 없애기 위해 몸 속 반응으로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가르킨다.

C형간염의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거나 나이가 많거나 적어도 간경변증을 지니는 사람이라면 간암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특별히 더 신경써야한다.간염은 대부분 이유가 알코올일 것이라고 알고 있는 자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C형 간염 그리고 이유가 알코올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위험한 C형 간염은 오염된 체액 때문에 걸린다.

이로 인해 면도기나 손톱깎이 등 실생활 뿐 아니라 병에서 치료를 받다가 감염될 수 있다.

앞서 지난 2015년에는 서울의 한 병원에서 주사 바늘을 재사용해 주사를 맞은 환자들이 집단으로 C형 간염에 걸렸다.

아울러 성적인 접촉이나 수혈, 의약품에 혈액을 이용하거나, 소독되지 않은 침의 사용, 이렇게 재사용된 침으로 한 피어싱이나 문신 등에서 생기기도 한다.

이런 여러가지 방식으로 C형 간염의 바이러스가 혈액으로 들어오면 보통 바이러스는 간세포에 존재한다.

이렇게 되면 우리 몸은 바이러스를 없애기 위해 여러 반응을 보이고 이때 간세포에 상처가 가면서 염증이 간에 생겨 간염으로 발전한다.C형간염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법으로 약물치료다.

페그인터페론이나 리바비린을 24~48주 동안 투여해 C형 간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이런 방법은 매우 고가이며 약물로 인한 부작용이 많으며, 반응률도 C형 간염의 유전형에 따라 다양하다.

그래서 예방이 C형간염을 막는 것에 가장 도움을 준다.

C형 간염은 백신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체액으로 인한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신경써야 한다.

피어싱이나 문신을 할때, 침을 맞을 때 기구가 오염되지 않았는지 체크해야 하고 그 외에 손톱 깎기, 면도기, 칫솔 등 혈액 오염 가능성이 높은 모든 물건이 전염시킬 수 있으니 타인과 나눠쓰지 않는게 좋다.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