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타임스 박태호 기자 ]
휴대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일이 많은 현대인들은 뒷목이나 어깨에 통증이 나타나면 단순 근육통으로 가볍게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 후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목디스크가 아닌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목 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는 퇴행성 변화나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으로 디스크(추간판)가 탈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디스크가 탈출되면 목에 통증이 나타나며 뿐만 아니라 어깨까지 뻐근한 증상이 나타난다.
다른 신체 기관과 마찬가지로 추간판 역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된다. 가장자리의 섬유륜에 균열이 생기면서 내부 수핵이 빠져 나오는 추간판탈출증이 대표적인데, 이 수핵이 주변 신경을 누르면서 여러 가지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탈출된 디스크의 신경압박이 심해질수록 통증은 물론 팔과 손에 저림증상이 동반되고 심각한 경우 팔의 근력이 떨어져 사용하기 힘들어진다.
또 드물게는 전기가 오는 듯한 찌릿찌릿한 느낌을 받기도 하는데, 이러한 증상들 때문에 목 디스크를 목의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어깨 근육통이나 팔의 문제로 오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목디스크는 질환 초기에는 통증이 크지 않지만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어깨와 팔, 손, 손가락까지 통증이 뻗어 나간다. 드문 경우긴 하지만 신경이 심하게 손상되었다면 하지 마비까지 초래할 수 있으므로 증상을 인지했다면 치료를 서둘러야 한다.
목 디스크 초기에는 비수술 치료법인 도수치료를 통해 충분히 통증 해결이 가능하다. 도수치료란 전문가의 손을 이용해 척추와 관절 등을 직접 자극하고, 틀어진 관절을 바로 잡아 통증을 완화시키는 치료법을 말한다.
보통 목 디스크와 같은 척추, 관절질환이 경미할 경우 보존적 치료법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체형 불균형을 바로 잡고, 시술이나 수술 후 통증 관리에도 효율적이다.
화성시 남양 서울통증의학과 김건우 원장은 "도수치료는 절개,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아 치료를 받은 뒤 부작용이나 후유증에 대한 위험이 적다. 또한 치료 시간이 30분내로 짧으며, 치료 후 바로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하지만 치료에 앞서 목 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사용할 때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박태호 기자 fam3@pcs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