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타임스 박태호 기자 ] 척추관협착증이란 중년층 이후에 발병하기 쉬운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평소 척추에 압박이 자주 가는 자세 습관을 갖거나 무리한 운동을 할 경우,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척추의 퇴행을 더욱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다.
척추관이란 대뇌에서 나와 척추를 따라 내려가면서 사지 말단까지 가는 척수신경이 들어있는 관을 일컫는다. 이 척수신경을 뒤쪽에서 둘러싸고 있는 척추 관절과 앞쪽에서 둘러싸고 있는 척추 디스크가 서서히 척추 사이 신경구멍이나 척추 뼈 신경구멍이 좁아지는 것을 척추관협착증이라 한다.
증상으로는 엉덩이나 항문 쪽에 저릿하면서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들며 혹은 타는 것 같은 느낌이 동반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 또한 다리가 저리고 시린 이상감각이 나타나고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면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된다. 하지만 이것은 나이가 들 경우 허리가 굽은 채로 굳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보통 허리디스크와 혼동하기 쉬운데, 허리디스크는 급성 편측 하지통 증상으로 인해 앉아서 쉬어도 계속 불편하고 주로 20~40대인 젊은 층에서 발병하는 반면, 척추관 협착증은 양측 하지 저림 증상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면서 보행 시 통증을 동반하지만 잠시 쉬면 편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허리를 숙였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허리디스크와 달리 허리를 굽혔을 때 통증이 완화되고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쪼그려 앉았을 때 일시적으로 편해지거나 걸을 때 통증이 있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진단 결과 경미한 척추관 협착증이라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주사치료, 운동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을 방치할 경우 혈류 장애 및 호흡기 질환, 심장질환 등으로 악화 될수 있으며, 운동마비나 배뇨장애 등 2차적인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더욱 빠른 치료가 권장된다.
세종시 조치원 서울신통의원 박융희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척추가 올바르게 펴진 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심한 육체적 노동이나 장시간 앉아 있는 업무를 피하고 흡연을 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박태호 기자 fam3@pcs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