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서울시에서는 서울시 관내 구청 유기동물 담당자를 대상으로 동물등록용 마이크로칩 제품설명회가 열렸다. 이번 설명회는 2013년부터 동물등록제가 의무화되면서 각 지자체별로 마이크로칩을 애견의 체내에 삽입하거나 목걸이형으로 부착하게 될 마이크로칩 업체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각 구청 실무자들이 업체에서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서울시 동물보호과에서 마련했다.
이번 설명회에 참여한 마이크로칩업체 7군데는 각자 15분씩 자사제품의 우수성과 안정성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제품설명회가 끝나고 나서는 각 지자체 실무자들끼리 30여분간의 토론이 있었다. 설명회 후 토론에서는 몇 년전 마이크로칩 업체 선정과정에서 있었던 뇌물수수 비리가 있어서인지 정부지침이나 업체선정 관련 각 구청 실무자들은 다소 민감하게 반응하는 듯 보였다.
동물병원이나 시민단체에서 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요구를 반영, 서울시에서는 각 제품에 "생물학적 안정성"에 대한 객관적인 테스트 자료를 요구했는데 설명회 당일까지 테스트 자료를 완성한 업체는 1곳뿐이었다. 또한 제품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칩 회사들이 과거 납품을 위해 뇌물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외무역법 위반, 최초 허가나 신고사항과 다르게 운영하거나 제조국가 미 일치 등의 문제로 범법행위가 있었던 업체들이 그대로 참여를 하고 있다는 점, 업체를 선정하는데 있어 담당 실무자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게 되는 것 때문에 정부나 서울시에서 사업자선정에 직접 관여했으면 하는 바램도 있었다.
뿐만아니라 과거 무료시술이 진행되었을 때는 소비자의 불만이 적지 않았었는데 의무시행에 따라 마이크로칩을 유료로 시술하게 될 때 소비자의 민원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제품의 안정성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날 제품설명회에 참관한 손은필 서울시수의사회장은 "마이크로칩 업체의 선택은 해당 지자체의 공무원이 아니라 소비자의 몫으로 돌리는게 더 나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2013년 동물등록제가 의무 시행됨에 따라 정부의 해당기관 및 전국의 지자체에서 과거 몇몇 지자체에서 무료로 마이크로칩 시술사업이 진행된 사례를 수집하고 있는중이고 첫 번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서울시의 진행에 나머지 지자체에서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