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타임스 유현준 기자 ]
팔꿈치 통증을 만드는 테니스엘보나 골프엘보는 최근 환자가 늘고 있는 질환이다. 꼭 운동선수가 아니더라도 업무나 생활속에서 팔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찾아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테니스 엘보의 주 증상으로는 팔꿈치가 아픈 동시에 통증이 팔 전체로 퍼질 수도 있으며, 물건을 들거나 밀 때 주로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생겨난다.
손에 힘을 주면 상과부에 통증이 생기며 손을 쥐는 힘이 떨어진다. 따라서 물수건을 차거나 물을 담은 세면기를 들어 올릴 수 없고, 심한 경우 열쇠를 돌리거나 머리를 빗는 등 가벼운 행동에도 통증이 생겨난다.
반면 골프 엘보(상완골 내측 상과염)의 경우, 골프 스윙이나 수영의 배영과 같이 손을 뒤로 빼내는 동작 또는 장작 패기나 전기톱 사용과 같은 전완의 굴곡근군을 사용하는 동작에 의해 팔꿈치 내측, 즉 상완골 내과에서 시작하는 부위에 건 병증이 생긴 질환을 말하는데, 골프 엘보 역시 주먹을 쥐거나 물수건을 짜기가 어려우며, 손목과 팔꿈치의 불안정한 움직임이 감지되기도 한다. 팔 근육이 긴장하고 기능적 근력이 저하됨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으로 내측 상과부의 압통이 있다.
테니스엘보는 국민 100명 중 1명 발생하는 질환이나, 골프엘보는 테니스엘보의 약 10% 수준으로 1000명 중 1명 정도 발생한다.
테니스엘보 환자가 골프엘보 환자보다 많은 이유는 손을 손등 쪽으로 굽히는 역할을 하는 손목신전근이 부착되어 있는 외측상과가 상대적으로 힘은 약한데도 불구하고 사용빈도는 내측상과 보다 높아 손상될 확률이 더욱 높기 때문이다.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의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 수술적 치료로 진행된다. 증상이 가벼운 경우 손목의 충분한 휴식,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지속적인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아산시 온천동 서울강한정형외과 강종훈 원장은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 등 팔꿈치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의 시작과 마무리에 스트레칭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무리한 운동을 자제하고, 통증이 생기기 시작했을 때 즉시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유현준 기자 fam5@pcs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