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타임스=지미옥 기자] 서울시가 올해 일자리를 제공한 노인이 5만명을 넘어섰다.
시는 2016년 11월말 현재 총 1036억원의 국·시·구비를 투입해 지난해보다 9.5% 늘어난 5만456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이같은 일자리 정책은 공익활동형, 시장형, 인력파견형 등 3가지 유형의 맞춤형 일자리를 기조로 하고 있다.
노인 3만4000명 참여한 공익활동형 일자리는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가 노노케어, 취약계층 지원 같이 지역사회 공익증진을 위한 활동에 월 30시간 참여하고 수당 20만원을 받는 정책이다.
사업으로는 '시각장애인 지하철안내도우미'가 있는데 시각장애인이 많이 다니는 38개 지하철역에서 모두 548명이 참여했다.
시장형·인력파견형은 만 60세 이상 노인에게 20만원 이상의 추가 소득을 주는 일자리로서 참여자가 올해 대폭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시장에서 제공하지 않는 긴급 보육수요를 위해 동네 거주 어르신이 아이를 돌보는 '우리동네 아이돌봄기동대' 등이 호응도가 높았다고 시는 밝혔다.
이어 급속한 고령화와 어르신 일자리 수요 증가에 미리 대응해 조례를 만들고 수행기관 다변화 등 일자리 확대 기반 마련에 행정역량을 집중했다고 언급했다.
시는 지난 3월 '서울특별시 노인 일자리 창출·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어르신 생산품을 우선 구매하고 시가 설립한 공사·공단 내지 출자·출연기관 등이 노인 일자리 사업에 적극 참여하도록 권장하는 내용을 담았다.
아울러 전국 최초로 사회적 협동조합 '강서나눔돌봄센터'를 아파트택배 사업 수행기관으로 지정해 다양한 기관·섹터가 노인 일자리 사업에 관심을 지니고 참여하도록 했다.
이 밖에도 오는 2017년은 올해보다 11.7% 늘어난 예산 1157억원을 투입해 공익활동형 수당을 2만원 인상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미옥 기자 jimi@fam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