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times

곡성군, '귀농·귀촌 메카'로 자리매김…청년 전입 증가

[FAM타임스=지미옥 기자] 곡성군이 전남을 넘어 전국을 대표하는 귀농·귀촌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젊은 청년층의 전입이 늘어나면서 농촌 고령화를 막는 효과도 내고 있다.

21일 곡성군에 따르면 올 한해에만 348세대 702명(10월말 기준)이 귀농·귀촌했다. 지난해 395세대 681명에 이어 2년 연속 600명을 넘어선 것이다. 곡성군은 특히 지난 2015년부터 올 10월까지 불과 2년여만에 1개 면단위 인구인 1383명의 유치실적을 보이는 등 귀농·귀촌의 최적지로 부상하고있다.

올 한해 곡성지역에 둥지를 튼 귀농·귀촌가구 348세대의 기존 거주지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98, 광주권 140, 전남·북권 59, 경상권 33, 충청권 13, 제주·강원권이 5세대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전입세대는 20∼30대 44, 40대 77, 50대 143, 60대 66, 70대 이상 18세대 순이었다.

곡성군 관계자는 "수도권 귀농·귀촌가구가 전체의 28%를 차지하는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40대 이하 젊은 청년층의 귀농귀촌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눈여겨 볼 현상"이라면서 "특히 경남·북과 제주지역 귀농·귀촌이 늘고 있으며, 올 들어 귀농귀촌 문의전화도 부쩍 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는 민선 6기 들어 타지역과 차별화한 귀농·귀촌 정책을 펼친 효과라는 풀이도 나왔다.

곡성군은 민선 6기 들어 오는 2018년까지 귀농·귀촌인 3000명 유치를 목표로 전담부서인 '귀농귀촌팀'을 신설하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특히 현장조사를 실시해 지역 내 빈집, 농지 정보 등 부동산 정보 제공에도 정성을 쏟고 있다. 도시민들이 귀농·귀촌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거주지 마련을 호소한 데 따른 것이다.

곡성군은 또 귀농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주택수리비 지원과 농창업 주택신축 융자자금 지원, 귀농인 현장실습비용 지원 등에도 나서고 있다.

군은 '소(通)동(行)락(樂) 곡성 귀농학교'를 운영해 매월 2∼3회 수업을 실시하고, 귀농·귀촌인들이 지역을 알아가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초기 정착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귀농·귀촌인들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관계자는 "곡성은 지역의 73%가 푸른 산으로 이뤄져 있고, 섬진강과 대황강이 지역을 끼고 흐르는 등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면서 "특히 KTX가 곡성역에 정차하고 대도시와 30분 거리에 인접해 있는 점도 귀농·귀촌 최적지로 각광받는 이유 중 하나"라고 밝혔다.

지미옥 기자 jimi@famtimes.co.kr

김진아 기자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