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 전체에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은 한번 증상이 발병하면 여러 차례 재발하며 건강을 악화시킨다. 복통과 설사, 체중감소 등을 일으키며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크론병 관리법에 대해 알아봤다.
소화기관 어디든 발생하지만, 특히 잘 발생하는 곳은 소장의 마지막 부분 회장과 대장이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은 아니지만, 대부분 15~30세에 발생하기 시작, 치료해도 계속 재발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 일생 동안 지속된다.
크론병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한 가족 내 여러 구성원, 친척이 크론병을 걸리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와 유전 요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흡연자의 경우 발병 비율이 세 배다. 수술 후 재발률도 높고 증상이 악화하기 쉽다.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홍역바이러스 감염, 소화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과잉 면역 반응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크론병 증상
크론병 증상은 사람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 간격을 두고 재발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설사 ▲복통 ▲발열 ▲체중 감소 ▲전반적으로 건강이 악화된 느낌이다. 대장에서 발병한 경우, ▲때때로 피가 섞인 설사를 한다 ▲직장 출혈이 나타난다 같은 증상도 보인다.
문제는 복통이나 설사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와 특별한 치료 없이도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시기가 반복된다는 것이다. 이에 단순한 소화불량이라 생각에 치료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
복통은 주로 하복부에 간헐적으로 나타난다. 설사는 환자의 약 85%에게 나타난다. 대부분 일반 설사와 비슷한 증상이다. 떠한 환자의 3분의1가량은 체중이 감소한다. 여기에 구토와 오심, 발열, 밤에 땀을 흘리는 증상, 식욕 감소, 허약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입안 점막이나 식도, 위막에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환자의 10%는 크론병 때문에 관절염, 안질환, 신장결석, 담석증, 발진 등이 생길 수 있으며, 90%는 항문질환이 있다. 피부나 눈, 간, 신장에 이상이 생기기도 하고 골밀도가 감소해 골다공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진단과 치료
혈액 검사와 함께 소장 및 대장 X-ray 검사, 바륨 조영술 검사, S상 결장 검사, 대장 내시경 검사를 통해 장 내부를 관찰해 진단할 수 있다.
증상을 완화하고 염증이 생긴 조직의 파괴를 늦추는 것이 크론병의 치료 목표다. 약물 치료를 먼저 진행하고 합병증이 발생 시 수술을 하는 편이다.
가벼운 증세는 지사제와 진통제로 치료하며, 급성인 경우 경구 스테로이드제를 처방하지만 증상이 가라앉으면 용량을 낮춰 부작용을 줄인다. 증상이 심각할 경우 입원해 스테로이드 정맥주사를 맞는다. 스테로이드제 처방 용량을 줄인 뒤에는 경구 설파살라진이나 메살라진과 같은 항염증제, 면역억제제로 재발을 막는다.
약물치료를 3개월 이상 해도 반응이 없는 경우나 장협착, 심한 출혈 등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수술을 시행한다. 수술은 병든 장 부분을 제거하고 건강한 장끼리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후에 남은 장에서 또다시 재발할 수 있어 가급적 꼭 필요할 때 수술한다.
크론병 위한 생활습관
크론병을 예방하기 위해 흡연이나 경구용 피임약, 과도한 스트레스를 피하는 것이 좋다. 섬유소가 적은 식품을 섭취해 대변 양을 줄이고 기름진 육류나 힘줄 부위의 질긴 부위를 가급적 먹지 않는다. 설사를 할 경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탈수를 예방한다.
지방변이 있는 경우 고지방 식품을 제한하고 우유를 마셨을 때 설사 또는 복부 불편감이 나타난다면, 우유나 유제품 섭취를 제한한다.
크론병 환자가 주의해야 할 식품에는 잡곡, 질긴 육류, 도라지‧고사리‧미나리 등 질긴 채소, 말린 과일, 견과류, 조개류, 카페인 음료, 탄산음료, 팝콘 등이 있다.
크론병에 좋은 음식으로는 흰쌀밥, 연한 소고기, 돼지고기 살코기, 계란, 두부, 생선, 가지‧애호박 등 부드러운 채소, 과일 등이 있다.
크론병은 재발하기 때문에 평소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대장직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대장 내시경을 포함한 정기검진을 꾸준히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