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픽사베이)
다리 저림 증상에 대해서 경험해 본 사람들은 그 기분을 대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우리가 쉽게 표현하는 '다리 저림 증상'은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유발되는 통증과 함께 다리를 움직이기 힘든 현상을 말하는데, 과도한 경우 근육이 경직 현상까지 나타난다.
흔히 쥐가 나는 증상은 대개 하지나 장딴지와 같은 부위에서 종종 유발되는데, 운동을 열심히 한 후나 한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다가 다른 자세를 취하려 할 때, 혹은 수면 중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쥐가 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다.
이런 증상을 방관하면 안된다.
다리 저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건강 적신호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리 저림 증상 근본 원인에 알맞는 대처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특히 '하지 저림'이 생기는 원인은 매우 많다.
첫 번째로, 축구 선수들이 경기 중 하지에 쥐가 나서 아파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축구나 수영처럼 근육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운동을 하면 다리에 쥐가 날 수 있다.
그러므로 평소에 운동습관이 되지 않은 사람이 갑작스런 운동으로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다리에 쥐가 날 수 있다.
때문에 운동하기 전 많은 워밍업 운동으로 몸과 근육을 풀어줘야 하며, 운동 후에도 스트레칭을 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이 뿐만 아니라 피가 순환하는 과정이 잘 되지 않을 때도 하지에 다리 저림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피의 순환에 장애가 오면 근육 이완 및 수축에 난항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꽉 끼는 옷을 입거나 발이 꽉 끼는 신발을 장시간 신으면 하지에 쥐나는 요인이 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다리 저림증상이 날 수 있다. 평소 다리 저림이 잘 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무릎과 발목 사이의 뒤쪽 근육 부분에 다리 저림이 났다면 의자에 똑바로 앉은 후 무릎을 쭉 펴고 다리를 올렸다 내렸다하는 동작을 계속해서 하면 하지에 쥐 난 것이 사그라든다.
또, 쥐가 난 부분에 적당한 세기로 마사지를 하는 것도 증상 완화에 좋다.
필드에서 뛰는 축구 선수처럼 발에 다리 저림이 나면 하지를 쭉 펴고 발 끝을 잡고 스트레칭을 천천히 해야 한다.
혹시, 서 있는 상태에서 발에 다리 저림 증상이 났다면 바른 자세에서 발꿈치를 들었다 내렸다하는 동작을 반복하면 좋다.
그외에도 족욕을 해 혈액순환을 돕는 것도 좋고, 물을 자주 먹는 것도 좋다.
한 달에 1~2번 이상 다리 저림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면 평소 건강이 좋지 못 한 것일 수 있다.
그 중, 무릎과 발목 사이의 뒤쪽 근육 부분 및 발목 안쪽에 다리 저림이 자주 나는 경우 하지정맥류를 의심해보자.
하지정맥류는 하지가 저리며 경련이 일어난다.
증상이 진행될수록 하지의 부기와 단단해짐을 느끼고, 정맥류 주변 부근의 피부톤이 변화되고 혈관 튀어나옴을 동반할 수 있다.
아울러, 다리 저림의 원인은 동맥경화증의 초기증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혈관이 협소해져 동맥이 점점 굳어지는 증상을 그대로 놔둘 경우 뇌경색 또는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도 있다.
평소에 다리 저림이 자주 나타난다면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