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임이 적은 사람들은 디스크에 시달리곤 한다. 디스크 유형은 허리와 목 두가지로 나뉘며 허리에 디스크가 생길 경우 몸을 움직일 수 없게 돼 심각성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목이 아플 경우 통증이 있어도 일상생활을 할 수 있고 푹 쉬고나면 금방 낫기 때문에 병원에 가지 않는다. 디스크 환자를 조사한 결과 허리통증 때문에 치료받는 환자는 230만명인데 비해 목디스크는 193만명 정도다. 그러나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두통, 소화불량 등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들이 생기기 쉽다.
목디스크 증상 자가진단 하는 법
목디스크가 있는지 몇 가지 자가진단을 통해 판단이 가능하다. 우선 디스크가 생기면 손가락에 감각이 떨어져서 섬세함도 없어진다. 따라서 갑자기 글씨를 잘 못쓰거나 단추를 잘못 잠글 경우 목디스크가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젓가락질을 잘 못하고 동그라미가 안그려진다면 목디스크일수도 있다. 또 디스크가 있으면 목과 팔의 신경을 압박하면서 어깨와 손이 저릴 수 있다. 어깨와 손에 났던 쥐가 만세를 했을 때 통증이 나아지면 디스크가 있어서 그럴 수 있다. 실제로 목디스크가 있는 사람들이 병원 방문 시 팔을 머리위로 올린 채 진료실로 들어오는 사례가 있다. 앞서 말한것 외에도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손가락 마디마다 힘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손가락을 붙이면 20초를 못버티고 한 개씩 떨어진다. 또한 하체 기능이 떨어져 휘청거리면서 걷게된다. 더 확인해보고 싶다면 바닥에 직선을 그어놓고 밟으면서 걸어가보면 된다. 걸으면서 어긋나면 목디스크일 수 있다.
목디스크 치료에 좋은 운동
목디스크가 심각하면 반드시 병원을 가야 하지만 증상이 약하면 자가치료를 통해 증상을 가라앉힐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목 근력을 키워주면 목 디스크 방지에 좋다. 목 근력 키우는 운동을 소개한다. 팔을 들어서 머리를 감싼 다음 팔을 올린 쪽으로 목을 기울인다. 이 때 옆쪽이 당기는 느낌이 들게된다. 또한 시선을 정면으로 한 다음 엄지손가락들을 이마 옆에 놓은 다음 팔꿈치를 어깨와 수평이 되게 한다. 어깨를 돌려주는 스트레칭도 있다. 팔을 높이 들어서 팔꿈치와 손을 어깨와 수평으로 만든다. 이후 팔에 힘을 빼면서 어깨를 빠르지 않게 돌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