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times

[건강관리] '아무리 커피 마셔도 소용없어'…갑자기 잠드는 '기면증' 고치는 방법은?

▲(출처=픽사베이)

분명히 숙면을 충분히 즐긴 것 같은데, 심한 졸음이 몰려오고, 계속 찌뿌둥하다면 자신이 기면증 환자가 아닌가 확인해 봐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기면증이라는 것은 밤에 충분한 잠을 자고 일어났는데 아침이나 아침이나 낮에도 심하게 잠이 오거나 깨어났는데도 낮에 또 자는 것을 반복해서 일상생활이 아예 힘겨울 정도로 잠에서 허덕대는 증세다.이처럼 이렇게 기면증은 춘곤증 등과 달리 충분한 수면시간을 보냈는데도 불구하고 저항하기 어려운 졸음이 쏟아지는 것이 특이한 현상이다.이처럼 기면증은 춘곤증 등과 달리 춘곤증 등과 달리 식사 후 졸린 것이 아니라 졸음이 심할 정도로 쏟아지고 몸이 무기력해지며 선잠에 빠져 착각, 환각에 빠지기도 하는 게 다른점이다.국제수면장애분류(ICSD)에 따르면 대략 3개월 정도 매일매일 졸음과 수면발작이 일어나는 것을 기면증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기면증은 많이 자면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데, 이는 오산이고 기면증이 만성이 되면 아예 일상생활 자체가 불가능 하니 필히 원인과 증상을 알고 병원 치료는 물론 약물 치료, 생활습관 개선을 병행해 고쳐야 한다.기면증이란 것은 시차에 적응하지 못한 것처럼 본인 의지와 관계없이 갑작스레 잠에 빠지는 질환으로, 보통 남자 검사를 발을 때 8분 이내에 잠들면 기면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기면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현재까지 기면증의 이유로머리 속에 각성물질인 하이포크레틴이 줄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어째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는 모르는 상태다.

그리고 여성은 월경이나, 갑상선에 이상이 생겨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유전이 이유가 될 수 있는데, 직계가족이 기면증이 있다면 40배나 발병률이 높다.

기면증환자는 밤에 충분히 잠을 잤어도 몸 속 각성물질의 분비가 원활하지 않아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심하게 졸린 것이다.또 이처럼 기면증은 졸음과 함께 무기력증과 선잠에 빠져 환각 및 착각에 빠지는 증상이 있다.

이어, 수면마비, 졸도, 발작 등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도 가끔 있다.

잠을 자려고 할때 환각을 경험하거나 잠시 자기도 모르게 어떤 행동을 하기도 한다.또 참을 수 없는 졸음이 엄습해 오는 수면발작과 근육의 힘이 없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모든 연령에서 기면증을 경험할 수 있지만 대부분 10대후반~20대초반에 발견되고 30세 이전에 발견된다.

기면증을 고치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물로 치료 가능하며, 생활습관 교정, 전문의와의 상담 등의 통합적 치료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본인의 행동치료도 중요하다.

규칙적으로 수면을 취해야하고 수면패턴의 정상화와 심할 경우 학교와 직장에 양해를 구해야 한다.

또 숙면을 방해할 수 있는 음주나 야간운동은 피하고, 운전을 해야한다면 잠올 수 있는 높은 열량의 식사는 멀리해야 한다.

김순용 기자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