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집에서 2대 이상의 차를 소유하는 것이 흔한일이 되고 나홀로 가구가 증가하면서 자동차 구매 비율도 점점 늘고 있다.
자동차 등록대수가 지난해 연말을 기준으로 2320만여 대에 이른다고 한다.
등록된 자동차 가운데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승용차는 약 80%인 1867만여 대다.
그런만큼 차는 이미 생활 필수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를 운전하기 때문에 안전한 사용을 위한 차량 유지 및 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최근에는 여러가지 앱을 통해 '내차시세조회'부터 '소모품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 관리에는 시간과 돈, 전문적인 기술이나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간단한 정보만 알고 있어도 평소에도 차량 관리 및 유지가 가능하다.'자동차의 심장' 엔진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엔진오일'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모품인 엔진오일을 적절한 시기에 교환하지 않으면 금속재질의 내부 부품 간 마찰이나 부식으로 엔진고장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엔진오일은 운행거리 5,000km~1만km 또는 운행기간이 3~6개월 사이일 때 새롭게 바꿔야한다.
그렇지만 엔진오일의 교환시기는 드라이버의 운전습관이나 도심 주행이나 단거리 주행 등 주행환경, 자동차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가혹주행을 많이 하고 있다면 교환주기는 짧아진다.
가혹주행이란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하거나 먼지나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 운행, 오랜시간 공회전, 더운 날씨에 시내에서 주행, 추운 날씨에도 바로 운행하는 등 자동차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운행습관을 말한다.
따라서 가혹주행이 잦은 편이라면 조금 일찍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것이 좋다.자동차는 보통 3만 개 정도의 부품으로 이뤄져있다.
많은 부품으로 제작된 만큼 소모품 관리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엔진오일을 비롯한 여러가지 오일들은 정기적인 교환이 필요하다.
오토미션오일의 교체는 통상 운행거리 10만km이고 브레이크 오일의 교체주기는 주행거리 2만km나 2년 이상이라면 점검해야 한다.
부동액은 주행거리가 4만km를 넘었을 때나 2년이 지났다면 교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점화플러그와 점화케이블의 경우에는 문제가 생기면 출력 저하나 엔진 성능 저하를 일으킨다.
따라서 매 2만km 마다 점검하거나 4만km에 교체하는 것이 좋다.
에어필터의 경우에는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여러 불순물을 걸러내는 소모품이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의 공기오염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에어필터 등의 필터류도 정기적으로 바꿔야 한다.
그밖에도 브레이크 패드나 와이퍼 등의 소모품도 적당한 시기에 점검 혹은 교체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