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대통령선거가 3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경제 대통령을 표방했고 또 경제성장을 염원했던 많은 국민들의 바람과는 달리 한국경제는 몰락했고 국가채무는 51조나 증가했으며 언론자유지수는 노무현 정부시절 세계 31위에서 69위로 추락했다. 또 IT경쟁력은 세계 3위에서 16위로, 국가경쟁력 또한 11위에서 19위로 떨어지는 등 총채적인 위기에 직면한 것이 이명박 정부의 현실이다. 국민의 복지는 땅에 떨어지고 인권이 유린당하자 이를 비판하고 비난하는 목소리를 막기 위해 MBC, KBS, YTN 등의 공영방송을 장악해 자신들의 집권유지와 정권연장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 또한 21세기 현 시대적 관점에서 볼 때 매우 경악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억압과 편법의 정권, 그리고 이러한 위기를 초래한 근본적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이명박 정부는 5개월여의 임기가 남아있고, 사실상 이명박 정부 못지않게 경제정책 실패와 한국정부의 심각한 위기를 초래한 집권당인 새누리당은 지난 4월 11일 총선에서 예상과 달리 압승을 함으로써 한나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당명까지 바꿔가며 위기를 맞았지만 기사회생으로 살아났다. 그리고 12월 19일 다가올 대통령 선거에 '박근혜'라는 대선후보가 출마한다.
이렇듯 한국의 정치적인 현실은 곧 국민의 의식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도 작용한다. 맹목적인 추종과 지역에 대한 안착주의, 그리고 선거때만 되면 재래시장을 돌며 공약을 남발하는 후보들의 무조건적 뱉고 보자는 식의 선심성 정책을 믿는 순수함(?), 아니 어리석음이 오늘날 구시대적 패권주의로 가득찬 대통령을 만들었고 또 정치인과 정치현실을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이는 2012년을 살아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교육현실을 감안할 때 심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정치인의 선거공약에는 특징이 있다. 대통령과 국회의원은 특정 분야를 대표하는 위치가 아니기에 어찌 생각하면 자연스러운 것인지도 모른다. 사람이 사는 사회에서 사람을 위한 공약이 우선이 되어야 하는 것 또한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반려동물 1,000만의 시대에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정책이 필요한 정치인의 공약에서 동물관련 정책은 단 한 번도 들을 수도, 볼 수도 없는 것이 한국 정치공약의 현 주소다. 한편으로는 인간위주의 정책 경쟁에서 동물정책을 거론함으로 인해서 역풍을 맞을까 하는 우려도 있어 보인다. 그래서 공개적 정책은 내놓지 않고 동물단체를 찾는 등의 소극적 행보를 이어가는 것일지도 모른다.
대통령과 국회의원이 선거철이 되면 시대의 화두처럼 내걸고 있는 경제 성장은 단지 우리의 삶에 있어서 돈 많이 벌고 잘사는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최근 비번이 발생하고 있는 유기견 문제 등은 경제가 나빠짐으로 인해 파생적으로 확산되는 사회문제 중의 하나인 것이다. 경기가 나빠지면 곧 먹고 사는 일차적 문제에 직결되게 되며 사람의 먹고사는 문제는 바로 반려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많은 사람들은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서는 매우 소극적인 사람들이 많다. 이는 '정치와 자신은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라는 사고에서 비롯되었을 수도 있다. 또는 '무관심이 상팔자'라는 방관주의의 일환일 것이다. 최근 동물 단체에서 지속적으로 벌이고 있는 동물학대에 대한 캠페인 및 시위는 사회에 점진적인 의식전환을 유도할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정치가 바뀌고 정책이 바뀌는 것은 바로 정치인과 대통령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가장 빨리 그리고 쉽게 관련법이 성장 혹은 개선되기 위해서는 법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정치에 대한 관심과 정치인을 선택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신중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
임박하게 다가오고 있는 "2012 대선" 사람에 대한 공약은 엄밀히 따져보고 실현가능 여부를 면밀히 살펴봐야 할 것이며, 반려동물에 대한 공약이 없다면 향후에는 선거 공약에서 동물에 대한 공약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관련단체 및 종사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