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매복사랑니 발치, 꼭 해야 할까?…발치 후 주의사항까지

김수연 2019-12-04 00:00:00

매복사랑니 발치, 꼭 해야 할까?…발치 후 주의사항까지
▲(사진출처=ⓒ크라우드픽)

사랑니는 어금니 중에서 가장 뒤쪽에 위치한 치아다. 사랑을 시작할 나이쯤에 난다 해 사랑니라 불린다. 가장 마지막에 나는 치아이기 때문에 막니라고도 불리며, 어금니 중 세 번째 위치에 있어 제3대구치라 하기도 한다. 사랑니는 가장 안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관리가 어려워 발치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울거나 누운 상태로 자라는 경우가 많아 발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매복사랑니란?

매복 사랑니는 말 그대로 잇몸 밑에서 자라는 사랑니다. 매복사랑니가 생기는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져 있진 않지만, 인간의 진화로 인해 아랫턱이 작아지면서 사랑니까지 온전하게 자라나지 못하게 됐다는 의견이 많다. 매복사랑니는 잇몸 밑에서 앞 치아를 밀어내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부기 및 염증을 유발하기 쉽다. 충치가 발생하면 주변 치아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

매복사랑니 발치, 꼭 해야 할까?…발치 후 주의사항까지
▲(사진출처=ⓒ크라우드픽)

 

매복사랑니, 꼭 발치해야 할까?

사랑니가 똑바르게 자란 경우 발치를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매복 사랑니의 경우 대부분의 전문의가 발치를 권한다. 매복 사랑니는 염증을 유발하기 쉬우며 치열의 변화까지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혹은 신경선에 걸쳐 자라는 경우가 많아 주변 치아나 잇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발치를 결정했다면, 병원을 신중하게 골라야 한다. 사랑니는 개인에 따라 자라는 모양새나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신경선에 걸친 사랑니의 경우 수술 병원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매복사랑니 발치, 꼭 해야 할까?…발치 후 주의사항까지
▲(사진출처=ⓒ크라우드픽)

 

매복사랑니 발치 후 주의사항

사랑니를 발치한 후 1시간 정도 솜을 물어 지혈해 주는 것이 좋다. 지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상처의 회복이 더뎌지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발치 후 2시간이 지나면 식사를 할 수 있는데, 이때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유동식을 먹는 것을 추천한다. 수술부위의 감염을 피하기 위해 청결에 신경써야 하며 침을 뱉거나 빨대사용은 일주일 간 삼가는 것이 좋다. 입 안에 압력이 가해지면 봉합부위가 터져 감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