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2019년 실업급여 금액이 지난달 역대 최고인 158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된 2019 실업급여 지급액도 지난해 연간 지급액을 넘어섰다. 정부는 일자리를 잃은 실직자를 위해 고용보험 실업급여를 지원한다.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해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지급하는 급여다. 이에 고용보험 실업급여 수급조건과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신청방법을 알아봤다. 또 2019년 실업급여 금액·기간까지 함께 살펴봤다.
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수급조건은 퇴직 전 18개월 동안 유급 근로일이 180일 이상이어야 한다. 단, 주 1~2일 또는 주 15시간 미만 근로하는 초단시간 근로자의 실업급여 신청조건은 퇴직 전 24개월 동안 유급 근로일이 180일 이상이면 된다. 또 2019년 실업급여 조건은 실업급여 퇴사 사유가 비자발적 사유여야 한다. 다만 자발적 퇴사자도 ▲연장 근로가 지나치게 많았을 때 ▲임금 체불 ▲너무 먼 곳으로 발령 났을 때 ▲질병으로 인해 치료가 필요할 때 등 특정 퇴사 사유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 실업급여 나이 제한과 실업급여 횟수 제한은 없다.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방법
실업급여 신청 기간은 퇴사일로부터 12개월이다.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신청방법은 먼저 회사가 실업급여 신청서류인 실업급여 이직확인서와 고용보험 피보험 상실신고서를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한다. 이후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고용보험 피보험 상실신고서가 처리됐는지 확인한 뒤, 워크넷 홈페이지에서 구직등록을 신청한다. 다시 고용보험 홈페이지 개인 서비스→실업급여→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을 클릭, 실업급여 동영상 교육으로 실업급여 온라인 취업특강을 이수한다. 이어 고용노동센터에 신분증을 들고 가 구직급여를 신청한다. 재취업 희망카드를 발급받고, 면접확인서 등 실업급여 구직활동 인정받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실업급여 부정수급 신고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나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신고할 수 있다.
2019년 실업급여 금액·기간
2019년 실업급여 금액은 기존 평균임금의 50%에서 60%로 인상됐다. 실업급여 최저금액은 최저임금의 90%에서 80%로 하향됐다. 2019년 실업급여 기간은 기존보다 30일씩 연장됐고, 기존 30세 미만과 30세 이상 50세 미만이 합쳐지면서 30세 미만의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이전보다 60일 늘었다. 이어 고용보험 피보험 기간에 따른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실업급여 나이가 50세 미만일 경우 ▲1년 미만, 120일 ▲1~3년, 150일 ▲3~5년, 180일 ▲5~10년, 210일 ▲10년 이상, 240일이다. 또 2019년 실업급여 수급 나이 50세 이상이거나 장애인일 경우는 ▲1년 미만, 120일 ▲1~3년, 180일 ▲3~5년, 210일 ▲5~10년, 240일 ▲10년 이상, 270일이다.
코로나19 방역 ‘양호’ 여성 리더십에 세계 주목
과기부,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 본격 가동...제1차 회의 개최
어린이집 방역 관리 이행 사항 점검...5월1일까지
총 17개 제대혈 은행 품질·안전 관리 정기 심사․평가 결과...16개 적합, 1개 부적합
혈액․배설물을 통한 코로나19 전파가능성 희박...질병관리본부 발표
코로나19 대응 관광업계 지원...총 8000억 원 규모 융자진행
담뱃갑 경고그림·문구 12개 교체한다...올해 12월23일부터 적용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위해 산학연병 적극 협력
쪽방·고시원 주민들에게 보증금 없는 공공임대주택 지원...국토교통부, 2025년까지 4만호 공급
2022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2000명대 감축 위한 합동대책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