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밑을 봤는데 마치 좁쌀 여드름 처럼 오돌토돌한 것이 난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보기 싫다고 이것을 함부로 짜면 큰일 날 수 있다.
가끔 눈밑이나 뺨 주변에 좁쌀 여드름 같은 것이 오돌토돌 다는 것을 비립종이라고 하는데 비립종은 1~2mm 크기의 양성 종양으로 각질이나 피지, 노폐물 등이 뭉쳐 생긴다. 세균이 증식해 발생하는 여드름과는 다르지만, 겉보기에 형태가 비슷해서 자칫 혼동하기 쉬워 마구 짜는 사람이 있는데 함부로 짜면 세균 감염이 일어나 흉터가 남을 수 있다.
먼저 비립종은 원인에 따라 자연적으로 생기는 '원발성 비립종'과 물집과 상처, 화상 등 외상으로 손상된 피부에 발생하는 '속발성 비립종'으로 나뉜다. 비립종 안에는 각질이 차있다. 비립종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어떤 질환 후에 발생하기도 하는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립종은 원발성 비립종, 어떠한 질병 후에 생기는 비립종은 속발성 비립종이라 일컫는다.
그렇다면 비립종은 왜 나는 것일까? 비립종은 피부손상에 따른 잔류낭종으로 모낭, 땀샘에서 기원하며 물집 질환 이후, 피부박피술, 화상 등 외상 후, 만성적 스테로이드 도포로 인한 피부위축부 등에서 발생하는데 주로 눈밑에 흔하게 나곤 한다.
눈밑 비립종은 염증이나 통증도 없어서 굳이 제거하지 않아도 건강에는 지장이 없다. 다만, 눈밑 비립종은 눈에 띄는 부위에 생기기 때문에 보기 싫을 수 있어 짜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비립종을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짜내면 세균 감염의 우려가 크고, 비립종이 있던 자리에 흉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비립종이 났다면 그냥 병원을 가는 것이 낫다.
[팸타임스=임채령 기자]
코로나19 방역 ‘양호’ 여성 리더십에 세계 주목
과기부,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 본격 가동...제1차 회의 개최
어린이집 방역 관리 이행 사항 점검...5월1일까지
총 17개 제대혈 은행 품질·안전 관리 정기 심사․평가 결과...16개 적합, 1개 부적합
혈액․배설물을 통한 코로나19 전파가능성 희박...질병관리본부 발표
코로나19 대응 관광업계 지원...총 8000억 원 규모 융자진행
담뱃갑 경고그림·문구 12개 교체한다...올해 12월23일부터 적용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위해 산학연병 적극 협력
쪽방·고시원 주민들에게 보증금 없는 공공임대주택 지원...국토교통부, 2025년까지 4만호 공급
2022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2000명대 감축 위한 합동대책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