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주택을 담보로 하는 노후준비? 주택연금 가입조건 및 주택연금 수령액까지

김연수 2019-04-10 00:00:00

주택을 담보로 하는 노후준비? 주택연금 가입조건 및 주택연금 수령액까지
▲주택연금 가입조건 및 신청(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

연금이란 노후준비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주택연금이란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주택연금제도와 주택연금 수령액, 주택연금 신청자격, 주택연금단점 및 주택연금조회까지 함께 알아보자.

주택연금 가입조건

주택연금 가입조건은 ▲부부 중 1명이 만 60세 이상 ▲부부기준 9억 원 이하 주택 소유 ▲다주택자라도 합산가격이 9억 원 이하인 경우 ▲9억 원 초과 2주택자는 3년 이내 1주택을 팔 경우가 해당한다.

주택을 담보로 하는 노후준비? 주택연금 가입조건 및 주택연금 수령액까지
▲주택연금 수령액 및 주택연금 조회 (사진출처=ⓒGetty Images Bank )

주택연금 수령액

주택연금 수령액의 지급방식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종신방식 ▲확정 기간방식 ▲대출상환방식 ▲우대방식 등이 있다. 종신방식은 수령액을 평생 지급받는 지급방식이고 확정기간방식은 10~30년 중 일정기간을 선택해 받는 지급방식이다. 대출상환방식은 인출 한도 내에서 목돈을 찾고 나머지는 평생 연금식으로 받는 지급방식이다. 우대방식은 1.5억 원 미만의 1주택자가 종신방식보다 더 많이 받는 주택연금 지급방식이다. 주택연금 수령액 조회방법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예상연금 조회가 가능하다.

주택을 담보로 하는 노후준비? 주택연금 가입조건 및 주택연금 수령액까지
▲주택연금 장점과 주택연금 단점 (사진출처=ⓒGetty Images Bank)

주택연금 장·단점

주택연금의 장점은 낮은 금리와 안정성이다. 또한 종신지급과 소유권 유지도 주택연금의 장점이 될 수 있다. 반면 주택연금의 단점은 주택연금 가입 후 이사를 했을 때 신규주택의 가격이 기존주택보다 가격이 낮다면 연금지급 총액의 일부 또는 전액을 상환해야 한다. 또 집값변동에 따라 연금 수령금이 바뀌진 않는다. 이외에도 재산세를 납부해야 한다. 하지만 2019년부터는 1가구 1주택에 한해서 재산세가 감면되고 있다.


[팸타임스=김연수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